상단여백
HOME 뉴스 제약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 美 라투스바이오社에 투자

유전자 치료제 유망 기술 플랫폼 보유 기업 투자 및 협업 가능성 모색

삼성이 생명과학 분야 신기술 및 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한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Life Science Fund)'를 통해, 유전자 치료제 개발社 美 라투스바이오(Latus Bio)社에 투자한다고 3일 밝혔다.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으로 출자해 조성한 벤처 투자 펀드로써 삼성벤처투자가 조합을 결성해 운용 중이다.

삼성은 금번 투자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 신 사업 기회 탐색과 더불어 유전자 치료제 개발의 핵심 기술 연구를 위한 협업 가능성을 모색할 계획이다.

라투스바이오는 중추신경계(CNS:Central Nervous System) 질환에 특이적인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캡시드(Capsid) 선정 및 검증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 벤처 기업이다.

특히, 차별화된 캡시드 엔지니어링 플랫폼을 바탕으로 뇌 조직 침투에 용이한 신규 AAV 캡시드를 발굴함으로써, 아직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의료계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높은 뇌 신경 질환 유전자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선행개발본부장 조호성 부사장은 “뇌 조직 선택성이 우수한 캡시드 발굴은 AAV 기술의 핵심 과제이며, 라투스바이오는 AAV 분야의 높은 전문성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라고 전했다.

라투스바이오 창업자 베벌리 데이비슨(Beverly Davidson) 박사는 美 펜실베니아 의과대학 교수 겸 필라델피아 소아 병원(CHOP) 기술 전략 총 책임자이며, 美 식품의약국(FDA)에서 최초로 승인한 유전자 치료제 럭스터나(Luxturna®) 개발사 스파크 테라퓨틱스(Spark Terapeutics)社를 공동 창업한 AAV 업계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라투스바이오는 데이비슨 박사 외에도 신경과학 및 유전질환 분야의 권위있는 교수진이 기술 자문단에 참여하는 등 업계 최고 수준의 유전자 치료제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 활동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라투스바이오는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비롯한 다수의 투자자들이 참여한 총 5400만불 규모의 시리즈 A 단계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으며, 5월 7일 개최되는 美 유전자∙세포 치료제 학회(ASGCT) 연례 미팅에 참가해 다양한 적응증의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관련기사 icon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개발 누적 수주액 125억불 돌파...글로벌 톱 20개 제약사 중 고객사 14곳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자가면역질환약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피즈치바'(SB17) 유럽 허가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에피즈텍' 2월 유럽 허가 긍정의견...국내  허가 순항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SB27' 글로벌 임상 3상 개시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희귀질환약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 국내 출시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美피부과 학회(AAD)서 자가면역질환약 2종 연구 결과 발표 icon삼성바이오로직스, 서울대와 손잡고 바이오 인재 육성 나서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亞안과학회서 SB15(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임상 후속 연구 결과 발표...삼일제약과 'SB15'-'SB11' 판매 협업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자가면역질환약 '피즈치바'(SB17) 유럽 허가 권고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필리부' 국내 품목허가 승인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SB17) 후속 연구 결과 발표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SB27) 글로벌 임상 1상 개시 icon삼성바이오로직스, 2023년 연결기준 매출 3조 6946억원·영업이익 1조 1137억원 icon삼성바이오에피스, 창립 12년만에 매출 1조원 돌파...영업이익 2054억원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