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선진국 퍼스트 제네릭 초기 출시때 국내보다 약가 더 높아...실존상황 고려돼야
'해외 약가 재평가 제도' 유명무실론 언급
"보험 약가 제도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도 언급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30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제약업계의 불법 리베이트 근절에 대한 질문에 "일단(기자의 관련 질문이)불편하지 않다"고 소신을 밝히고 "업계가 갖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다. 반드시 해결해 내야 되는 과제"임을 거듭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2009년 제약 산업 활성화 방안으로 혁신형 제약사, 개량신약 등 여러 제도를 도입하면서 강한 조치까지 시행해 온 역사가 있다"며 "그 기조는 변함이 없지만 그럼에도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보다 건전하고 공정한 경쟁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 불가결하다"고 주문했다.
그래서 "계속해서 그런 여론을 형성해 나갈 것이고 적어도 지난해 10월 ESG(윤리경영), 징벌제 도입을 기점으로 관련 문제들을 신속하게 해결하면서 기업의 영업이 더 탄력받아 나갈 수 있게 모든 노력을 강구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실패 용인 ARPA-H 투자 전략, 아직 구체적 운영 계획 나오지 않아
노 회장은 정부 R&D 예산이 ARPA-H 투자나 보스턴 코드 프로젝트에 집중되고 있는 것과 관련 "일단은 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된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환영의 뜻을 보이고 "그렇지만 보다 정확하게 성과를 내기위해선 제대로 된 운용이 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런데 "타분야의 R&D 비용이 준 반면 제약바이오 육성 R&D비가 는 것은 희망을 주는 요소이기도 하다"며 "지금까지 제약기업에 지원되는 R&D비용이 비교적 낮았지만 앞으로는 제약 기업에 더 집중할 수 있게 지원된다면 훨씬 더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리고 "실패를 용인하는 ARPA-H 투자는 아직 구체적인 운영 계획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기다려봐야 하겠지만 현재 미국이 수용하는 걸 보면 알수 있듯 해당 기업뿐 아니라 업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고 추론하고 "기존 R&D 자산 집행과는 별도로 기업들 스스로도 도전적인 과제에 대응하고 참여의 길을 열어가야 한다는 마인드가 전제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즉 정부의 마중물을 지렛대 삼아 좀 더 활발한 투자와 R&D 활성화를 통한 자생력 관리가 중요하단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벤처 투자사나 일부 제약사에 지원됨으로써 R&D의 키 역할이 주어지면 좋지 않을까 싶다"고 바람도 피력했다.
▶"'외국의 약가와 비교할때 더 높기 때문에 깎아야 된다'는 식의 재평가제도 존재에 의문"
노 회장은 예측 가능한 정부의 약가정책 방향에 대해 "제약바이오업계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보험 약가 제도의 투명성"을 콕 짚고 "예측 가능성을 인지한 기업이 미래를 위한 투자에 선뜻 나서지 않을까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영국의 보건 정책 사례를 들었다.
노 회장은 현재 영국 정부가 운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 중에 하나는 꼭 (정책에)필요한 얘기를 하고, 꼭 필요한 일을 하며 집행과 정책이 단순 명료해 비용이 덜 드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업이) 미래를 위해 투자에 앞서 전제돼야 할 점이 예측 가능한 약가 정책 시행이며 결국 세계 6대 (바이오제약) 강국을 만들겠다는 목표 달성에 가까히 근접해 가지 않을까하는 바람이다.
특히 "'비교적 제도가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해외 약가 재평가 제도'가 이미 발표가 됐고 시행돼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논리적 명분이 약하다고 본다"며 "현재 '(제네릭 등이) 외국의 약가와 비교했을 때 높기 때문에 깎아야 된다'는 식으로 결과를 도출해 내고 있는 사실로 인해 존재이유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을 수가 없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다만 "제약 선진국들의 보험현황에 따르면 퍼스트 제네릭이 나왔을 때 약가 수준이 저희들보다 높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시장 기조로 인해 더 낮아질 수도 있지만 초기 단계에서는 국내보다 상당 부분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그런 실존적인 사실까지 충분하게 고려돼야 기업들이 투자를 하거나 미래를 준비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우려섞인 기대감을 비쳤다.
▶지출보고서 공개 범위 논의 중...개별 신상 공개까지는 갈길 멀어
노 회장은 그리고 지출보고서 공개 범위에 관해 "이제 법이 개정돼서 시행되고 있는데 구체적인 법률 내에서 논의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 제약사뿐아니라 의료인의 개별 신상이 공개되는 시행하기까지는 어려움이 있지 않겠느냐"고 우려하고 "다만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과도한 정보가 공개되는 점을 고려해 양 쪽의 균형을 맞춰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런 입장을 전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